조회 수 3031 추천 수 23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옥에서 여인들이 사는 안채가 남자들이 사는 사랑채에 비하여 규모가 크다는 점을 이해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로 탐구하고 있다.

성호 이익선생의 『성호사설』을 읽다가 「여다남소(女多男小)」라는 항목을 읽어보았다.  

『성호사설』에는 많은 이야기가 들어 있어서 수시로 읽어야 답답함을 면할 수 있어 옛일을 알기 위하여 늘 가깝게 하고 있다.


여다남소

(전략) 우리 나라도 여자가 남자 보다 많아서 서민들도 혹은 한 사나이가 두어 아내를 두는데, 사나이가 죽으면 시집을 가지 못하기 때문에 천한 사람도 절개를 지키는데, 이는 오직 우리 나라만의 풍속이다. 그러나 지금 사람들의 가정을 살펴보니 낱낱이 그 권세가 모두 안방에 있으므로, 남편이 강하고 아내가 부드러워 안과 밖이 그 정상을 유지한 가정은 열에 한둘 정도도 드문 편이어서 아내가 거세면 남편은 유약해도 오히려 그 가문을 보존한다.(중략)

고려 충렬왕 때 대부경(大府卿) 박 유(朴 愉)가 상소하기를 "우리 나라에 남자가 적고 여자가 많은데도 신분이 높거나 낮거나 한 아내 밖에 두지 못하므로 자식 없는 자도 감히 첩을 두지 못하는데, 다른 나라 사람들은 아내를 두는데 정해진 숫자가 없으니, 신은 앞으로 인물이 다 북쪽 나라로 흘러갈까 염려됩니다.

원컨데 신료들로 하여금 서처(庶妻)를 두도록 허락하시고, 서인들도한 아내와 한 첩을 두게 하며, 그 서처의 소생들도 다 적자와 차별없이 조정에 벼슬할 수 있게 한다면 원망과 서러움이 없어지고 호구가 날로 늘어날 것입니다" 하였는데 그 때 재상으로 아내를 겁내는 자가 있어 그 의논이 묵살되어 버렸다.

박 유는 또 "동방은 목(木)에 속한다. 목의 생수(生數)는 3이고, 성수(成數)는 9인데, 홑수는 양이고 짝수는 음이니, 우리 나라에 남자가 적고 여자가 많은 것은 바로 이수(理數)가 그렇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이 글을 읽으며 우리문화에 어머니 비중이 매우 높다는 사실이 상기되는데 살림집도 그와 같은 흐름을 지녔다고 보아서 무리가 없을 듯 하다는 지견이 추가된다. 안채가 본당을 이루는 까닭이다.

지금 우리 살림에도 이런 흐름이 지속된다고 할 수 있는지 잘 모르겠다. 서양건축의 흐름 속에 든 우리들이 사는 지금의 집에서는 어머니의 권익이 한옥만큼 보장된다는 사실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민주주의의 남녀평등 때문에 오늘의 집이 합리적이라 한다면 아마 박 유 선생은 이수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꾸중을 하실 지 모르겠다. 20세기는 역시 과도기인가? 하는 의문이 계속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 木壽의 나라(奈良)통신 6. 신영훈 2001.12.28 2539
9 木壽의 나라(奈良)통신 5. 신영훈 2001.12.19 2140
8 木壽의 나라(奈良)통신 16 신영훈 2002.06.07 2631
7 木壽의 나라(奈良)통신 15 신영훈 2002.04.18 2776
6 木壽의 나라(奈良)통신 14. 신영훈 2002.04.03 3133
5 木壽의 나라(奈良)통신 12. 신영훈 2002.03.13 2671
4 木壽의 나라(奈良)통신 13 신영훈 2002.03.26 2740
3 <목수木壽의 한옥이야기> 게시판 소개 운영자 2010.12.29 73333
2 木壽의 나라(奈良)통신 17 신영훈 2002.07.02 2035
1 1970.01.01 1530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

(우)03131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6길 36, 905호 전화 : 02-741-7441 팩스 : 02-741-7451 이메일 : urihanok@hanmail.net, hanok@hanok.org
COPYRIGHT ⓒ2016 한옥문화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