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330 추천 수 29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진-김 대벽

한옥의 특성을 말하라 하면 가장 큰 특성의 하나가 구들 들여 난방하고 마루 깐 대청에서 여름을 시원하게 지낼 수 있도록, 말하자면 냉방과 난방을 위한 시설을 함께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 구조의 집은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이 구조가 더구나 동력이나 石化燃料를 사용하지 않고도 난방과 냉방을 할 수 있다는 자연 친화적인 장점으로 해서, 공해를 염려하는 사람들에게 크게 주목되고 있다.

우선 난방부터 살펴본다. 살림집의 난방은 아궁이에 지핀 불길이 고래를 타고 구들장을 덮이는 일로부터 시작된다. 안방의 경우엔 부뚜막이 있다. 가마솥을 건 부뚜막에는 큼직한 아궁이가 있어서 장작을 듬뿍 집어넣고 불을 때어도 좋을 만큼 넉넉하다.

아궁이 바닥은 안쪽으로 약간 경사지게 해서 높이고는 고래가 시작하는 부위에 '부넘기'라는 턱을 만들어 준다. 장작에 불이 붙으면 불과 연기가 이 '부넘기'로 해서 고개를 바싹 쳐들게 되고 그래서 깊은 고래 위에 얹은 구들장을 핥으며 지나갈 수 있게 된다. 고래로 그냥 통과하면 방이 덥지 않게 된다. 아까운 열량만 소비할 뿐이다. 고래로 통과하는 불길과 더운 공기가 구들장에 달라붙게 마련하는 일이 시설의 요체이다.

고래는 30㎝정도의 높이로 골을 이루는 듯이 만들어진다. 여러 개의 골이 평행하기도 하고, 아궁이로부터 방사선형으로 고래를 켜기도 한다. 켠다는 말은 고래를 같은 간격으로 이랑 이루듯이 만들어낸다는 의미이다.

방 전체에 고래를 설치하는 방법에서 고래 주변에는 고래 보다 깊이가 더 깊은 개자리가 생긴다. 개자리는 50㎝이상의 깊이를 가져서 고래보다 바닥이 차다. 불땀에 휩싸여 따라 들어오던 그을음과 티끌들이 이 개자리에 떨어진다. 개자리에 머물던 더운 기운이 비로소 굴뚝으로 향하게 되는데 개자리는 아궁이에서 덥혀진 더운 공기와 불길이 구들에 오래 머물기를 바라며 만든 것이어서 더운 공기가 굴뚝으로 직행하려는 동작을 제어하는 에어커튼의 구실을 한다. 燒却爐 중에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것이 한옥의 구들이라는 점은 바로 이 개자리가 있기 때문인데, 이는 수 천년 불을 지펴온 사람들의 지혜에서 우러나온 결과이다.

방에 구들을 들인 예가 세계 어느 민족에도 없다는 사실과 신식의 소각로 보다 우리 풍부한 경험의 소산인 개자리가 월등한 효능을 지녔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조차 소각로는 다른 나라에서 수입한 것을 사용하고 있고 그로 인한 공해 발생의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이럴 때 우리과학자들이 구들의 효능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연구하면 인류가 추구하는 무공해의 소각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가져본다. 시도해 가치가 충분히 있다는 생각이다.

개자리에서 머물던 더운 기운이 티끌을 다 떨어버리고는 맑은 하늘한 연기만 배출한다. 땅바닥에 煙霧로 퍼지는 파아란 색의 연기는 한옥의 한 정취이기도 하고 벌레를 쫓거나 퇴치하는 殺蟲劑의 구실도 한다.

사랑방 굴뚝을 방문 앞, 죽담 아래 마당에 설치하기도 한다. 키가 낮은 앉은뱅이 굴뚝인데 생김새를 아주 정감 어리게 만들어서 눈에 거슬리지 않는다.

그 앉은뱅이 굴뚝에서 연기가 나온다. 모깃불을 따로 지피지 않아도 그 연기로 해서 벌써 모기는 저만큼 달아나 버렸다.

굴뚝 언저리에는 거미줄이 없다. 줄을 치고 벌레를 잡아먹어야 하는데 연기에 쫓겨 벌레들이 다 피해가 버려서 거미로서는 헛수고 할 까닭이 없으니 거미줄을 치지 않는다.

소나무를 때면 소나무 그을음이 가마솥이나 아궁이 구들장에 묻는다. 그것을 긁어내면 먹을 만들 수 있다.

먹으로 글씨를 쓰면 먹 묻은 자리는 잘 썩지 않는다. 먹에 防腐의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좀이나 곰팡이를 퇴치하는 효능이 담겨 있는 것이다. 그러니 그 연기는 당연히 벌레를 퇴치하는 기능을 지닌다.

고향 한옥에 사는 이들이 발달된 의료기관이 없던 시절에 건강하게 살 수 있었던 일도 이런 일이 아궁이와 굴뚝에서 하루에도 몇 번 거듭되면서 살균해준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 가서 紫禁城을 구경하면 굴뚝 보기가 어렵다. 일본이 살림집에는 아예 굴뚝이 없다. 화덕말고는 불 때는 곳이 없기 때문이다. 그에 비하여 한옥의 굴뚝은 집집에 있고 건물마다에 조성되어 있다. 그런 굴뚝은 조형에도 특별한 재주를 부려서 우리에는 경복궁에서만도 보물 810호와 811호로 지정된 굴뚝이 있을 정도이다. 전 세계에서 굴뚝을 나라의 보배로 지정한 민족은 단지 우리뿐이다.

불이 인류의 문명을 선도하였다는 점에서도 우리 구들은 놀라운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은 무서운 불을 지켜보는 시각에서 화덕을 만드는 것이지만, 우리는 불을 궁둥이에 깔고 살 수 있을 만큼 불에 대한 자신감이 높다.

아궁이와 고래와 굴뚝은 그런 자신감에서 만들어진 구조라는 점에서 우리 민족의 뛰어난 지혜가 잘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우)03131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6길 36, 905호 전화 : 02-741-7441 팩스 : 02-741-7451 이메일 : urihanok@hanmail.net, hanok@hanok.org
COPYRIGHT ⓒ2016 한옥문화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