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짓는 순서와 기법

1. 집터고르기 - (4) 집터를 살펴봄

by 운영자 posted Dec 21,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집터를 살펴봄

⼘ 집터는 동쪽편이 높고 서편이 낮으면 생기가 융기(隆起)하고, 서쪽
이 높고 동편이 얕으면 부자는 되나 대단하지 못하며, 앞쪽이 높고 뒤
가 낮으면 집안에 좋지 못한 일이 잦고, 뒤편이 높고 앞이 낮아 트였
으면 재산이 늘고 세세에 영호(英豪)를 낳는다 하며,  사방이 높고 가
운데가  낮으면 부자일지라도 결국에는 가난해지나 면이 넓고 평탄하
면 아주 좋다.


⼘ 집터가 정서(正西, 卯酉之居)나 정북(正北, 子午之居)을  향하였으
면 아주 나쁘다.  남북이 길고 동서가  짧은 터전은 좋고, 동서가 길고
남북이 좁으면 처음에 흉하나 차츰 좋아진다.  오른쪽이 길고  왼쪽이
짧으면 부자가 되고, 왼쪽이 길며 오른쪽이 짧으면 자손이 적다. 앞이
넓고 뒤가  좁으면 가난하며, 앞이 좁고 뒤가 넓으면  부귀를 다  누린
다.


⼘ 집터 왼쪽으로  물이 흐르면 이를  청룡(靑龍)이라  하고, 오른편에
능선이 있어 장도(長途)가 되었으면 이를 백호(白虎)라 하며, 앞에 못
이 있으면 이를 주작(朱雀)이라하고, 뒷편에 언덕이있으면 이를 현무
(玄武)라 하니, 이런 터전을 일컬어 최귀지(最貴地)라 한다.


⼘ 마땅한 집터 : 집터가 궁궐·사찰·신선이 사는 부근에 있으면 그  주
인은 익수연령(益壽延齡)하고 가족이 평안하며 재산이 넉넉해진다.


⼘ 마땅치 않은 집터 : 신전(神殿),  불후(佛後),  고악(古嶽), 싸움터,
제구(祭坵),  대장간, 방앗간, 기름방, 오래된 무덤, 떨어진 바위의 벼
랑, 동망(童罔), 물골이 합치는 곳,  교통이 번잡한 곳, 큰 길가, 절터,
서낭터 등에는 집터 잡는 일을 피해야 한다. 또 큰 고을의 성문(城門)
앞이나 옥문(獄門)의 맞은편, 활터에서 과녁이 있는 부근, 흐르는 물
결을 바라다보는 자리,  하수구가 모이는 곳, 초목이  나지 않는 자리,
허물어진 절터의 탑 부근, 무덤 근처, 사당에 이웃한 자리, 제방 아래
의 자리도 마땅히 피하여야 한다.


⼘ 집터의 조사 :  집터의 좋고 나쁨을  지기(志氣)로 살피려면,  먼저
정한 집터,  지표의  부식토를 걷어내고  생 땅을  평정하게 고른 뒤에
한 변이  1.2척 되는 정방형을  설정하고 파내되 깊이도 역시 1.2척으
로 한다. 파낸 흙은 잘 부셔서 덩어리 없게 하고, 파낸 구덩이에  다시
메운다. 다지지 않은 채 두었다가 이튿날  아침에 살펴본다.  메운  흙
이 푹 꺼져 있으면 좋지 못한 터이고, 만일 그것이  불쑥 솟아  있으면
좋은 터전이라 판단할 수 있다.

⼘ 물로써 살피는 방법 : 물은 명당수와 함께  점치되  법(法)을  얻은
은 것은  길하고  그렇지 못하면 나쁘다. 대체로 물은 양양(洋洋)함을
좋아하며,  유유하여  머물되 가득 찬 연후에야 흘러내림이 마땅하니,
첩첩한 논의 물이 해조(海潮)에 따라 머물고 흐르며 넘치거나 모자라
지 않을  만큼 조당(朝堂)에 합당하고, 또 흘러내리는 물이 이윽히 계
속되면 최귀격(最貴格)이라 한다. 만약에 늪에 물이 차서 넘치며,  물
줄기에서 옆으로 새거나 터져  물길이 생기거나 물이 빠르게  흘려 내
리고 맡거나 땅으로 스며들며 말랐다 젖었다 반복되면 모두 흉하다.
또 흐르는 물소리가 명랑하면 길하나 처연하여 소름끼치면 불길하다.

⼘ 수구(水口) : 수구는 주밀함을 숭상하고  물이 고이며 얼른 흘러내
리지 않음은 수구에  둥근 둔덕들이 있기  때문인데,  이들을  나성(羅
星)이라 부른다. 흙은 돌과 같지 않아서 물길이 닿으면 나성들은 씻기
고 깎여서 그 모양이 여러 가지로 형성되는데, 그 중에 기사괴석(奇砂
怪石)이  새 같기도 하고  짐승 같기도 하여 그 머리가 물을 거슬러 오
를 듯이  역지상향(逆之上向)하고 꼬리가 흐르는 물에 잠긴듯이 형용
되면  대길할 징조이다. 또 나성들이 수구를 바라다보면 좋고, 반대로
집이 있는 쪽을 보면 불길하다.  수구가 집과 가까우면 해롭고 떨어져
있으면 무방하다.

물길  중에 사주(砂洲, 모래 섬)가  있어 수상류(首上流)에  거슬릴 때
주(洲, 섬)가 하나이면  거당(巨當)하고, 주가 셋이면 더욱 좋으며, 주
가 수구를 내려다보는 모양이면 가장 길하나, 그 주가 만약 낮으면 길
하지 못하다.

⼘ 응사(應砂) : 집터 좌우와 앞쪽에 모래언덕(砂丘)이  있어 그  끝이
둥글고 아름다우면 자제(子弟)들이 과거에 급제할 징조이고, 그 형용
이 탁필(卓筆)같이 보이면 문귀(文貴)할 것이며, 퇴갑둔군(堆甲屯軍)
한 모습이면  무귀(武貴)하게 된다.  반대로 언덕 끝이 급경사이면 도
적이 일고,  고탁(孤擢)한즉  스님이  배출될 상이며, 조화(燥火)한 듯
이 느껴짐은  온역(瘟疫)과 화재(火災)가 일어날 조짐이다. 그것이 소
탕(掃蕩)하면  쟁송(爭訟)할 암시이고,  사태가  나거나  해서 천망(天
罔)한다면 작적(作賊)하여 병사(兵死)하게  된다. 이들의 방향은 모두
목성윤도(木星輪圖)에 의하여 추상(推詳)된다.

⼘ 집터 앞에 다리를 놓거나 탑[塔婆]을 세우며 서낭[城隍]을 쌓는 일
은 모두 방위를 보게 마련이니 조심하여야지 함부로 해서는 안된다.


⼘ 바람 부는 방향을 살핌 : 북쪽에서 부는 바람이 사입(射入)하면 자
손이 낙수(落水)하고, 서북풍은 남녀의 음욕(淫慾)이고, 동북풍은 투
군(投軍)하여  낙진(落陣)하고, 간방(艮方)에서  부는 바람은  온황장
질(瘟簾瀆疾)이  창궐할 가능성이 있으며, 인방(寅方)의 바람은 호랑
이에게 다칠 징조이며,  갑묘(甲卯)의 바람은  길에서 죽거나 다칠 조
짐, 을방(乙方)의 바람은 자손의  눈이 멀거나 하는 액운이 있을 가능
성이 높고, 진손(辰巽)의 바람은  주인이 두풍(頭風)할  것이며,  사병
(巳丙)의  바람은  뱀에게  물리거나  하고, 수정(手丁)의 바람은 수재
(水災)가 있을 것이며, 미(未)는 노채해소(市瓌咳嗽)의 병이 들고, 곤
(坤)은 공송(公訟)이 있다. 신경(申庚)은 주폭패복(主暴敗覆)하고, 신
(辛)은 간고(艱苦)하며, 해임(亥壬)은 가난하게 될 징조이다. 요풍(凹
風)이 있어 취사(吹射)한즉 기산(氣散)하고,  바람이  좌입(左入)한즉
장방(長房)이  흠(欠)하고, 우입(右入)한즉 소방(小房)이 흠하니 이들
은 모두 피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