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드레스룸의 호피도 병풍. 모던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사진=문성진(매거진 '설화수' 제공)
방에 장판을 깔고 한지로 도배했다. 가구도 들여놨다. 그러나 벽이 허전하다. 붓걸이.고비(편지꽂이) 등으로 채울 수도 있겠지만 그림을 하나 걸어두고 싶다. 뭐가 좋을까.
민화연구가 서공임(45)씨는 "아파트에는 흰색을 많이 쓰는 경향이 있다. 악센트가 하나쯤 있으면 좋겠다. 색을 많이 쓰는 민화는 어떨까"라고 제안한다. 서씨는 민화의 특징으로 장식성.실용성.상징성을 꼽는다. 집안을 꾸미는 기능뿐 아니라 그려진 사물들에 복을 불러들이고 액운을 물리치길 기원하는 나름의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모란도는 부귀영화.남녀화합을 상징한다.

정초가 되면 옛사람들은 호랑이 그림을 대청에 걸어 오복을 불러들이고 액운을 물리치길 기원했다. 호랑이 그림에는 대개 까치가 같이 등장한다. 까치는 하늘의 기쁜 소식을, 호랑이는 땅의 기쁜 소식을 전한다는 의미도 있다. 호피도에도 호랑이 그림과 마찬가지의 소망이 담겨 있다. 시집갈 때 타는 가마 안을 호피무늬로 장식하기도 했다. 신행길이 탈 없기를 기원한 것이다. 무인의 사랑방 장식으로도 쓰였다.

민화에 담긴 의미를 생각하면 방의 쓰임에 따라 거는 그림도 달라질 터. 서씨는 "안방에는 어해도.화접도, 사랑방에는 책거리그림.문자도.호피도, 아이들방에는 동자도, 거실에는 호랑이.용.닭그림, 수험생방에는 어룡도, 어르신들방에는 십장생도가 적당하다"고 조언한다.

그림을 하나쯤 마련한다면 궁중모란도 두 폭 병풍을 권한다. "전통가옥엔 다락이 있지만 아파트에는 숨길 공간이 없다. 병풍 하나쯤 있으면 둘러 감출 수 있다"는 게 서씨의 설명. 한국화라도 표구를 고집할 필요는 없다. 나무액자가 집에 안 어울린다 싶으면 아크릴 박스로 액자를 해도 시원스럽다.

그런데 꾸밈에도 주의할 게 있다. 한옥문화원 신영훈(69)원장은 "지나치면 사는 사람이 소외되고 집치레가 주인이 된다. '어떻게 꾸밀까'가 아니라 '우리 가족을 위해 어떤 소망을 담아내야 할까'를 궁리해야 한다"고 말한다.

권근영 기자  

2004.12.28

* 운영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9-07-16 13: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2 [사진계 뉴스] 김대벽 추모사진전 기획한 장명희 운영자 2009.07.20 2874
141 태극무늬"우리문화 이웃문화 36"(조선일보) 운영자 2009.07.06 2873
140 마당 가꾸기"우리문화 이웃문화"(조선일보) 운영자 2009.07.03 2870
139 우리 몸에 꼭 맞는 집!(한겨레) 운영자 2009.07.09 2869
138 불교문화사업단, 첫 테마여행 ‘호응’ (불교신문) 운영자 2009.07.15 2863
137 [주말문화 UP 베스트10]내 생애 꼭 봐야 할 문화유산들 (동아일보) 운영자 2009.07.16 2860
136 석탑의 처마 "우리 문화 이웃문화 7"(조선일보) 운영자 2009.07.03 2857
135 [문학예술]‘한국의 고궁’…돌 하나 굴뚝 하나에도 섬세한 손길(동아일보) 운영자 2009.07.15 2852
134 ‘한옥으로의 초대’ 강좌 (불교신문) 운영자 2009.07.10 2850
133 신간산책] `우리 한옥` (중앙일보) 운영자 2009.07.09 2847
132 고구려 다각탑 "우리문화 이웃문화 17"(조선일보) 운영자 2009.07.03 2847
131 만물상(조선일보) 운영자 2009.07.08 2846
130 대영박물관 한국실 한옥으로 꾸며 11월 개관(조선일보) 운영자 2009.07.08 2835
129 주두 문화"우리문화 이웃문화 29"(조선일보) 운영자 2009.07.03 2834
128 [문화 단신]‘한옥문화원’ 外 (동아일보) 운영자 2009.07.17 2830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7 Next
/ 17

(우)03131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6길 36, 905호 전화 : 02-741-7441 팩스 : 02-741-7451 이메일 : urihanok@hanmail.net, hanok@hanok.org
COPYRIGHT ⓒ2016 한옥문화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