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하라, 그리고 사랑하라-문화재 전문사진가 김대벽 추모 사진전 정재숙 (중앙일보)

by 운영자 posted Jul 16,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구 달성 문씨 세거지(위), 경북 구미 해평 최씨댁(아래) 담장  
불타버린 숭례문의 원형을 기억하려는 이들에게 사진은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 그렇다고 한국의 모든 전통 문화가 제대로 된 사진으로 남아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대목에서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이름 하나가 있다. 백안(伯顔) 김대벽(1929~2006) 선생이다. 백안은 이 땅을 지키고 있던 한국 문화유산을 묵묵히 기록해온 사진가다.

그는 문화재 전문 사진가로 평생을 살며 사라져 가는 한국의 기층문화를 우리 곁에 사진으로 남겨주었다. 그가 50년 가까이 천착했던 소재는 크게 한옥·탈·살림살이·바위문화다. 김대벽 추모 사진전 ‘한옥의 향기’(2월 21일~3월 5일 소격동 아트선재센터)는 그런 고인의 큰 성취를 한자리에서 두루 살필 수 있는 전시회다. 살림집 31점, 궁궐 20점 등 모두 쉰한 점의 사진이 한국미의 그윽한 멋을 전한다.

경북 영천 매산 종택, 충남 예산 추사 고택, 경남 함양 일두 고택 등 반가의 꼿꼿한 가풍을 건물로 보여주는 살림집 사진은 그 자체로 하나의 족보를 이룬다. 조선 왕실의 위엄을 전해주는 종묘 정전, 경복궁 근정전, 창덕궁 낙선재는 ‘사람 없는’ 역사화라 할 만하다.

“나는 한옥을 결코 단순한 건축물로만 보고 사진을 찍지는 않는다. 집을 자연과 조화시키려는 한국인의 적극적인 의지에 감동하면서 자부심을 느낀다. 인위적인 느낌을 없애려고 일부러 자연스러움을 강조한 익살스러움은 한국인의 해학이요, 멋이다. 집 구석구석 돌 하나, 나무 한 그루에 손때 묻지 않은 것이 없기에 사람은 없어도 사람 체취가 물씬 풍기는 사진을 찍으려 애쓴다.” 백안이 남긴 이 짧은 글은 일종의 ‘문화재 사진론’이라 할 수 있다.

대구 달성 문씨 세거지(위), 경북 구미 해평 최씨댁(아래) 담장  

선생과 짝을 이뤄 현장 답사를 자주 다녔던 신영훈 한옥문화원장이 회고하는 일화는 이 일에 기울인 고인의 피와 땀을 엿보게 한다. “하루는 숭례문을 찍으러 갔어요. 아침 일찍 갔는데 광선이 충분치 않았는지 선생이 그저 기다리시는 거예요. ‘어떤 순간을 기다리시나 보다’ 그저 짐작할 뿐 저도 묵묵히 기다렸지요. 결국 사진 한 장을 찍고 났을 때는 저녁이 됐어요. 점심도 거르시고 집중하신 뒤라 탈진하신 듯 제게 ‘막걸리나 하러 가지’ 하셔서 서울역 뒤 선술집에서 맛있게 한잔 걸쳤던 일이 생각납니다.”
이 숭례문 사진은 전시장에 걸리지는 않았지만 주최 측인 ‘김대벽 기념사업회’가 사진엽서로 찍어 관람객에게 나눠주고 있다. 그야말로 그다운 봉사를 죽어서도 하고 있는 것이다. 유족은 “백안은 평생 사진인으로 살면서도 ‘예술가연’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고 돌아본다. 전시를 기획한 사진가 주명덕씨는 “백안 선생은 기록의 중요성을 강조했기 때문에 멋 부리기보다 적확한 객관성을 견지했다”고 설명했다. 후배 사진가 배병우씨는 “예술사진은 가도 기록사진은 남는 것”이라며 스승의 귀함을 돌아봤다.

전시와 함께 사진집 『伯顔 김대벽 한옥의 향기』(도서출판 한옥문화 펴냄)가 나와 고인의 사진을 지면으로 즐길 수 있게 됐다. 전시장에서는 28일 오후 2시, 3월 1일 오후 3시에 ‘백안의 사진을 통해 본 한국인의 심성’을 주제로 신영훈 한옥문화원장이 진행하는 강연회(02-741-7441)가 열린다.

기사입력 : 2008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