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전남 완도군 군외면 수목원 안에 다음 달 완공되는 전라남도 산림박물관은 작은 궁궐을 연상시킨다. 건물 규모는 지하 1층, 지상 1층, 건축연면적 2059㎡. 전통 건축양식으로 지은 지상층은 한옥으로서는 넓은 편인 1216㎡(약 380평)나 된다. 중앙에 뜰을 두고 건물과 회랑이 ㅁ자 형태로 배치됐다. 천득염(56) 전남대 건축학부 교수는 “대형 공공건물에 전통 건축 양식을 도입한 시도 자체가 대단하며, 높이 평가하고 싶다”고 말했다.
전라남도가 공공 청사를 한옥으로 짓고 있다. 박준영 지사는 “후손들에게 고유의 건축 양식을 전하려면 전통 기법을 최대한 써야 하는데, 돈이 많이 들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등이 아니면 엄두를 낼 수 없다”며 공공건물을 한옥으로 건설하는 배경을 설명했다.

전남도가 남악신도시(목포시·무안군 경계) 도청 앞에 지난해 말 개관한 관광정보센터 ‘남악마루’는 지상 2층 팔작지붕(지붕 네 귀에 모두 추녀를 단 것) 한옥(연면적 264㎡)의 멋을 뽐내고 있다. 건축비가 3.3㎡당 1200만원 이상 들었다. 남악마루는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의 2008 핀업 디자인 공모전에서 최고 상인 대상을 차지했다. 정기석 전남도 공공디자인과장은 “한옥이야말로 ‘녹색의 땅’ 전남에 맞는 디자인으로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고 브랜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도청을 2005년 10월 남악신도시로 이전하면서 도지사 공관 ‘어진누리’(안채 224㎡, 사랑채 58㎡, 대문 17㎡)와 비즈니스센터인 ‘수리채’(아래층 297㎡, 위층 281㎡)를 목조 팔작 기와집으로 신축했다. 훗날 문화재로 지정받을 수 있도록 전래 기법을 가급적 지켰다. 건축에 평당 1300만원 이상 들었다. 두 건물은 제1회 대한민국 공공디자인 엑스포에서 우수상을 받았다.

신영훈(74) 한옥문화원장은 “전통 건축이 외면받으며 사라져 가는 상황에서 전남도가 제대로 된 한옥을 지어 문화유산으로 남겨 기쁘다”고 밝혔다.

광주시 광산구 복룡동에서 내년 초 전남 강진군 작천면으로 이전하는 전남축산기술연구소는 새 청사 본관의 지상층(아래층 1610㎡, 위층 898㎡)을 현대식 한옥으로 설계 중이다. 철골을 목구조로 감싸고 기와를 얹는 방식이다.

광주시 서구 화정동에서 나주시 봉황면으로 올 연말 이사하는 전남도로안전관리사업소는 청사가 철근콘크리트 구조이지만 모양을 한옥처럼 내고 기와를 얹는 등 한식을 반영한다. 해남군은 고산 윤선도의 유물전시관(지하 1층, 지상 1층, 건축연면적 1830㎡)을 해남읍 녹우당(해남 윤씨 고산공파 종가) 근처에 80억원을 들여 전통건축 양식으로 다시 짓는다.

영암군 삼호읍에 건설 중인 F1 국제자동차경주장의 건물에도 한옥 컨셉트를 담았다.

김동현 전남도 행정지원국장은 “시·군에도 읍·면사무소나 보건소, 마을회관 등 공공건물을 지을 때 가급적 전통한옥 구조로 건축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해석 기자
2009년05월25일

‘풍경’이 된 서울대 한옥 (동아일보)
전봉희 건축科 교수, 수강 대학원생들과 직접 지어

13일 오후 서울대 공대 뒤뜰. 장마가 잠시 멎은 참에 나들이를 나온 김인헌 씨(46) 가족이 새로 들어선 두 칸 한옥 마루에 앉아 쉬고 있었다. 딸 윤빈이(4)는 처음 보는 황토벽과 문창살을 만져보느라 잠시도 가만있지 않았다.

이곳은 지난달 13일 집들이 행사를 연 ‘하유재(何有齋)’다. 전봉희 건축학과 교수(46)가 ‘한국건축사 연구방법론’을 들은 대학원생 32명과 지난해 2학기부터 만든 집. 김 씨는 “공대 폭포와 대구를 이루는 멋진 경관이 완성된 것 같다”고 했다.

1997년 개설된 이 수업은 텍스트 위주의 강의였다. 지난해 2학기를 앞두고 전 교수는 ‘한옥 짓는 실습수업. 토요일 하루를 꼬박 투자할 학생만 신청할 것’이라고 공지했다.

벽에 못 한 번 박아본 적 없는 학생들의 작업은 더뎠다. 첫 학기 15주 일정에서 13주가 지났을 때 공사는 3분의 1 정도 진행돼 있었다. 대팻날을 맘먹은 방향으로 밀게 되기까지도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한 학기 작업으로 기와 얹은 골조를 얻었지만 곧바로 해체와 이전을 겪었다. 학교 행정부서와 의견조율이 잘못돼 녹지보전지역에 주춧돌을 얹었던 것. 두 번째 학기에는 골조를 3주 만에 세우고 벽과 마루 만들기에 집중했다.

석사과정 서효원 씨(27)는 “문화재 복원 현장 견학만 다니다가 직접 공사에 참여해 보니 흙벽 안에 새끼를 엮고 나무를 깎는 방법 등 책에 없는 부분을 스스로 고민하며 체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설계 자문은 신영훈 한옥문화원장, 목공 지도는 이재호 도편수가 맡았다. 허남진 철학과 교수가 붙인 당호(堂號)는 ‘장자’의 ‘무하유지향(無何有之鄕)’에서 따온 것. ‘시비곡직 없이 편안한 무위(無爲)의 공간’을 뜻한다.

100% 학생들이 만든 것은 아니다. 기와와 초석을 깔 때는 장인을 초빙했다. 문짝을 제외한 목공 일과 벽 바르기는 학생 손으로 한 것. 회와 진흙, 짚, 모래를 섞어 세 번 발랐다.

전 교수는 “올해 프리츠커 상 수상자인 스위스 건축가 페터 춤토르의 디테일은 전통건축 양식을 발전시킨 것”이라며 “젊은 후배들이 몸으로 습득한 전통목조건축 기술을 발전시켜 국제적인 주목을 받는 성가를 이뤄 내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손택균 기자 sohn@donga.com
기사입력 2009-07-1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7 ‘한옥살이 꿈’ 지어드립니다 (한겨레 신문) 운영자 2009.07.17 4895
216 북촌 나들이 이유 하나 더 늘었다, 공공한옥(한겨레 2018.02.01.) 운영자 2020.06.17 4656
215 "한옥 부활은 우리 것에 대한 자신감" (MBC 경제매거진, 2010.6) 운영자 2010.11.09 4443
214 현대사찰건축 이렇게 변하고 있다 (불교신문) 운영자 2009.07.10 4268
213 [이사람] “관광용 한옥 아닌 ‘살집’ 짓고 관리해야” (한겨레신문 2011. 9. 15) 운영자 2011.10.05 4108
212 전무송의 나의 삶 나의 불교 44회 - 장명희 한옥문화원 원장 편 (불교TV 2011. 10. 4) 운영자 2011.10.07 3986
211 [Family] 한옥 같은 아파트 `아늑해요` (중앙일보) 운영자 2009.07.13 3867
210 아파트, 한옥을 품다. (중앙일보) 운영자 2009.07.20 3866
209 화살(조선일보) 운영자 2009.07.06 3848
208 이어주고 짜맞추고… ‘한옥은 디자인’ (동아일보) 운영자 2009.10.26 3736
207 “아파트 곳곳 한옥이 숨쉬는 그날까지” (동아일보) 운영자 2009.09.03 3638
206 한옥생활 30년째 미국인 피터 바돌로뮤씨 (동아일보) 운영자 2009.07.13 3638
» “미래의 문화재를 짓는다” 공공건물서 꽃피는 전통 (중앙일보) 운영자 2009.07.17 3609
204 ‘아파트 실내 한옥으로 꾸미기’ 강좌 (동아일보) 운영자 2009.07.10 3605
203 창살"우리문화 이웃문화 30"(조선일보) 운영자 2009.07.06 35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

(우)03131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6길 36, 905호 전화 : 02-741-7441 팩스 : 02-741-7451 이메일 : urihanok@hanmail.net, hanok@hanok.org
COPYRIGHT ⓒ2016 한옥문화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