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삼국시대의 삶
가. 움집에서의 발전
고대 움집터 발굴에서 맨바닥만으로 정리된 것과 돌을 깔아 포장한 예 등이
발견되었다.
집이 차츰 발전되는 단계에서, 이처럼 바닥에 돌을 깔기도 하나 그 이전에는 삿자리
나 가죽이나 풀을 깔기도 하였다.
즐문櫛文이라 부르는 삿자리무늬가 토기를 장식하는 시대성에서 삿자리 존재가
주목되는데 집에 그런 가공된 시설물을 사용하였다는 것은 맨바닥에서 일단 발전한
단계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맨바닥이나 그 바닥의 포장은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넓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건물 한 채가 통간通間이 되는 것이 보편적인데, 이는 움집 시대로부터 출발한 방식
이었다.
오늘날 발굴 조사되는 대부분의 움집은 칸막이 없는 통간으로 되어 있다.
이런 공간 구성에서의 삶의 방법은 처음엔 맨바닥을 이용하나 차츰 인지가 발달하면
땅바닥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피해 깔개를 만들어 까는 방식을 택하게 되며, 잠자리
에도 마찬가지의 시설을 하게 된다. 이른바 입식의 생활방도가 강구되기 시작하는 것
이다.
나. 입식의 생활과 깔개
이 경향은 집이 지표에 노출된 뒤로도 지속된다. 지표상의 집이라 해도 방바닥이
맨바닥일 경우는 움집이나 여건이 같았기 때문이다. 오히려 움집시대 보다 깔개는
다양한 발전을 하였고 집에도 칸막이가 채택되고 향유공간이 독립되기에 이르면서
깔개는 한층 더 활발한 발전을 하게 되었다.
이집트에서는 B. C 3000년 전에 이미 의자와 침상의 사용이 가능하였음을 보여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90 | <목수木壽의 한옥이야기> 게시판 소개 | 운영자 | 2010.12.29 | 84854 |
189 | 한옥으로의 초대 - 4. 한옥에 스며있는 지혜와 개성 | 운영자 | 2010.12.27 | 88922 |
188 | 한옥으로의 초대 - 9. 집 짓기 | 운영자 | 2010.12.27 | 88381 |
187 | 한옥으로의 초대 - 8. 공공건물 | 운영자 | 2010.12.27 | 84187 |
186 | 한옥으로의 초대 - 7. 살림집의 공간구성 | 운영자 | 2010.12.27 | 85810 |
» | 한옥으로의 초대 - 6. 생활방식과 살림집 | 운영자 | 2010.12.24 | 85080 |
184 | 한옥으로의 초대 - 5. 한옥의 역사 | 운영자 | 2010.12.24 | 85602 |
183 | 한옥으로의 초대 - 3. 한옥과 마을 | 운영자 | 2010.12.24 | 84985 |
182 | 한옥으로의 초대 - 2. 한옥의 개념 | 운영자 | 2010.12.24 | 87329 |
181 | 한옥으로의 초대 - 1. 21세기의 우리의 집 | 운영자 | 2010.12.24 | 85760 |
180 | 집 이야기 - 11. 木壽의 이웃나라 집 구경산책 | 운영자 | 2010.12.24 | 83487 |
179 | 집 이야기 - 10. 환경과 한옥 | 운영자 | 2010.12.24 | 83368 |
178 | 집 이야기 - 9. 한옥의 천장높이 | 운영자 | 2010.12.24 | 85770 |
177 | 집 이야기 - 8. 한옥의 부속시설 | 운영자 | 2010.12.24 | 83361 |
176 | 집 이야기 - 7. 창살 이야기 | 운영자 | 2010.12.24 | 84775 |
(우)03131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6길 36, 907호 전화 : 02-741-7441 팩스 : 02-741-7451 이메일 : urihanok@hanmail.net, hanok@hanok.org
COPYRIGHT ⓒ2016 한옥문화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