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반갑다는 인사부터 드려야 겠군요.
우리한옥에 대해서 어떤계기로 관심을 가지시게 된건지 모르지만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 부탁드립니다.
그럼 여러분이 올린 글에 대해 몇가지 답을 드립니다.
1) 더위와 추위에 대비한 한옥 ..
우리의 한옥에 마루와 구들이 있다는건 알고 계시지요.
한옥은 더위에 대비해서 처마가 길게 나와 햇빛을 차단하도 있읍니다.
한 여름 더운 날씨에 대비해서 대부분의 집에는 마루를 들이고 있지요.대청이라고도 하며 조금 고급스럽게 지은집에는 바닥을 높이들어 누마루를 들이기도 합니다.
마루나 대청부분에는 문을 단집도 있고 그렇지 않은집도 있는데 문을 단 대청이 고급집에 속한답니다.
그리고 추위에 대비한 한옥은 제일 먼저 난방시설인 구들을 들수 있읍니다.
이 구들은 선사시대 이전부터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는 우리 한옥만의 독특한 난방시설이랍니다.여러분이 살고 있는 집에서도 보이러 시설이 있듯이 옛날부터 한옥에는 구들이라는 난방시설이 있어 추운 겨울을 지내왔읍니다.
또 추운겨울에는 햇살의 각도에 따라서 햇볕이 집안까지 들어오도록 처마를 만들었읍니다. 눈이 많이오는 추운지방에는 우데기란 집이 있는데 이런집은 집안 추위전체를 짚으로 벽을 만들어 세워 추위에 견디고 있답니다. 이런집들은 울릉도지역에서 볼수있읍니다
2)한옥에 대한 빈속촌 같은곳이 있는지...
예 한옥을 보존하고 있는곳이 여러곳에 있답니다.
여러분이 잘 아시는 남산의 한옥마을과 전에 영국여왕이 방문하신 안동 하회마을, 회제 이언적 선생의 집이 있는 경주 양동마을과 전라도에 있는 낙안읍성마을, 충청도 아산 외암리 민속마을, 제주도 성읍민속마을등이 우리의 한옥을 볼수 있는 민속촌 아라 할수 있읍니다. 여러븐들이 쉽게 가볼수 있는곳을 추천해 본다면 서울에서 가가이 있는 곳으로 아산에 있는 외암리 민속마을을 권해드리고 싶군요. 이 마을 산너머에는 그 유명하신 고불 맹사성 어른이 사시던 맹씨행단이 있고 인근에 온양 민속박물관과 현충사가 있는곳이니 휴일날 부모님과함께 이런 봄날에 한번 다녀오는것도 유익하리라 생각됩니다.
3) 중부지방 한옥의 특징
우선 우리 한옥을 구분하자면 지역적으로 함경도 지역 민가. 평안도 지역민가. 중부지역 민가, 남부지역 민가, 제주도 민가등으로 크게 나눌수 있읍니다.
중부지역 민가라면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황해도, 경기도, 충청도 지역에 있는 한옥을 말할수 있는데 중부지역 한옥의 특징으로는 형태면에서 "ㄱ"집으로 분류할 수 있읍니다.
이지역은 북부지역의 구들과 남부지역의 마루가 혼합되어 나타난 집으로 부엌과 안반 대청과 건넌방등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고급집에는 사랑채가 별도로 지어지고 행랑채와 대문간등을 거느리고 있답니다.
4) 우리가 모르고 있는 한옥
한옥을 초가집과 기와집으로 나누는건 아주 초보적인 상식입니다.
우리의 한옥은 매우 다양해서 한마디로 정의내 릴 수는 없군요.
한옥이라 하면 어떤 특정한 건물을 지칭할수는 없고
구분하자면 사용한 재료를 가지고 구분할수 있는데 먼저 기와집, 초가집, 나무껍질을 이용한 굴피집, 나무나 돌조각을 이용한 너와집, 귀틀집등을 들수 있겠군요.
한옥이라 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살림집만 한옥이라 할수는 없답니다.
우리가 알고있는 궁궐이라든지 사찰 서원 향교 정자 관아등 무수히 많답니다.
여러분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적당한지 모르겠네요 .
조금더 우리의 한옥에 대해 관심을 가져주시고 열심히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우리한옥에 대해서 어떤계기로 관심을 가지시게 된건지 모르지만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 부탁드립니다.
그럼 여러분이 올린 글에 대해 몇가지 답을 드립니다.
1) 더위와 추위에 대비한 한옥 ..
우리의 한옥에 마루와 구들이 있다는건 알고 계시지요.
한옥은 더위에 대비해서 처마가 길게 나와 햇빛을 차단하도 있읍니다.
한 여름 더운 날씨에 대비해서 대부분의 집에는 마루를 들이고 있지요.대청이라고도 하며 조금 고급스럽게 지은집에는 바닥을 높이들어 누마루를 들이기도 합니다.
마루나 대청부분에는 문을 단집도 있고 그렇지 않은집도 있는데 문을 단 대청이 고급집에 속한답니다.
그리고 추위에 대비한 한옥은 제일 먼저 난방시설인 구들을 들수 있읍니다.
이 구들은 선사시대 이전부터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는 우리 한옥만의 독특한 난방시설이랍니다.여러분이 살고 있는 집에서도 보이러 시설이 있듯이 옛날부터 한옥에는 구들이라는 난방시설이 있어 추운 겨울을 지내왔읍니다.
또 추운겨울에는 햇살의 각도에 따라서 햇볕이 집안까지 들어오도록 처마를 만들었읍니다. 눈이 많이오는 추운지방에는 우데기란 집이 있는데 이런집은 집안 추위전체를 짚으로 벽을 만들어 세워 추위에 견디고 있답니다. 이런집들은 울릉도지역에서 볼수있읍니다
2)한옥에 대한 빈속촌 같은곳이 있는지...
예 한옥을 보존하고 있는곳이 여러곳에 있답니다.
여러분이 잘 아시는 남산의 한옥마을과 전에 영국여왕이 방문하신 안동 하회마을, 회제 이언적 선생의 집이 있는 경주 양동마을과 전라도에 있는 낙안읍성마을, 충청도 아산 외암리 민속마을, 제주도 성읍민속마을등이 우리의 한옥을 볼수 있는 민속촌 아라 할수 있읍니다. 여러븐들이 쉽게 가볼수 있는곳을 추천해 본다면 서울에서 가가이 있는 곳으로 아산에 있는 외암리 민속마을을 권해드리고 싶군요. 이 마을 산너머에는 그 유명하신 고불 맹사성 어른이 사시던 맹씨행단이 있고 인근에 온양 민속박물관과 현충사가 있는곳이니 휴일날 부모님과함께 이런 봄날에 한번 다녀오는것도 유익하리라 생각됩니다.
3) 중부지방 한옥의 특징
우선 우리 한옥을 구분하자면 지역적으로 함경도 지역 민가. 평안도 지역민가. 중부지역 민가, 남부지역 민가, 제주도 민가등으로 크게 나눌수 있읍니다.
중부지역 민가라면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황해도, 경기도, 충청도 지역에 있는 한옥을 말할수 있는데 중부지역 한옥의 특징으로는 형태면에서 "ㄱ"집으로 분류할 수 있읍니다.
이지역은 북부지역의 구들과 남부지역의 마루가 혼합되어 나타난 집으로 부엌과 안반 대청과 건넌방등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고급집에는 사랑채가 별도로 지어지고 행랑채와 대문간등을 거느리고 있답니다.
4) 우리가 모르고 있는 한옥
한옥을 초가집과 기와집으로 나누는건 아주 초보적인 상식입니다.
우리의 한옥은 매우 다양해서 한마디로 정의내 릴 수는 없군요.
한옥이라 하면 어떤 특정한 건물을 지칭할수는 없고
구분하자면 사용한 재료를 가지고 구분할수 있는데 먼저 기와집, 초가집, 나무껍질을 이용한 굴피집, 나무나 돌조각을 이용한 너와집, 귀틀집등을 들수 있겠군요.
한옥이라 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살림집만 한옥이라 할수는 없답니다.
우리가 알고있는 궁궐이라든지 사찰 서원 향교 정자 관아등 무수히 많답니다.
여러분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적당한지 모르겠네요 .
조금더 우리의 한옥에 대해 관심을 가져주시고 열심히 공부하시기 바랍니다.